본문 바로가기
항공우주/동역학

좌표변환과 관성행렬 (Inertia Matrix)

by 세인트 워터멜론 2023. 2. 17.

관성 다이아딕(inertia dyadic)은 특정 좌표계와 무관하지만 관성 다이아딕을 특정 좌표계로 표현한 관성행렬(inertia matrix)은 좌표계에 따라 달라진다.

 

 

어떤 강체의 질량중심 \(G\) 를 원점으로 하고 강체에 고정된 좌표계 \(\{a\}\) 와 좌표계 \(\{b\}\) 가 있다고 하자. 질량중심 \(G\) 에 관한 관성 다이아딕 \(\bar{I}_G\) 를 좌표계 \(\{a\}\) 와 좌표계 \(\{b\}\) 로 각각 표현하면 다음과 같다 (https://pasus.tistory.com/191).

 

\[ \begin{align} \bar{I}_G &= \sum_{i=1}^3 \sum_{j=1}^3 I_{ij}^a \ \hat{a}_i \hat{a}_j \tag{1} \\ \\ &= \sum_{k=1}^3 \sum_{m=1}^3 I_{km}^b \ \hat{b}_k \hat{b}_m \tag{2} \end{align} \]

 

여기서 좌표계 \(\{a\}\) 와 좌표계 \(\{b\}\) 에 관한 관성행렬 또는 관성텐서(inertia tensor)는 각각 다음과 같다.

 

\[ \begin{align} & [I_G^a ]=[I_{ij}^a] \tag{3} \\ \\ & [I_G^b ]=[I_{km}^b] \end{align} \]

 

그렇다면 두 개의 좌표계에 관한 관성행렬 \([I_G^a ]\) 와 \([I_G^b]\) 는 어떤 관계가 있을까.

 

 

식 (1)에서 좌표계 \(\{a\}\) 의 좌표축 단위벡터는 좌표계 \(\{b\}\) 로 다음과 같이 표현할 수 있다.

 

\[ \hat{a}_i= \sum_{k=1}^3 (\hat{a}_i \cdot \hat{b}_k ) \hat{b}_k \tag{4} \]

 

식 (4)를 식 (1)에 대입하면 다음과 같다.

 

\[ \bar{I}_G = \sum_{i=1}^3 \sum_{j=1}^3 I_{ij}^a \left( \sum_{k=1}^3 (\hat{a}_i \cdot \hat{b}_k ) \hat{b}_k \right) \left( \sum_{m=1}^3 (\hat{a}_j \cdot \hat{b}_m ) \hat{b}_m \right) \tag{5} \]

 

여기서 두 좌표계의 방향코사인행렬(DCM, direction cosine matrix)의 정의에 의하면 (https://pasus.tistory.com/83),

 

\[ C_b^a= \begin{bmatrix} C_{11} & C_{12} & C_{13} \\ C_{21} & C_{22} & C_{23} \\ C_{31} & C_{32} & C_{33} \end{bmatrix} = \begin{bmatrix} \hat{a}_1 \cdot \hat{b}_1 & \hat{a}_1 \cdot \hat{b}_2 & \hat{a}_1 \cdot \hat{b}_3 \\ \hat{a}_2 \cdot \hat{b}_1 & \hat{a}_2 \cdot \hat{b}_2 & \hat{a}_2 \cdot \hat{b}_3 \\ \hat{a}_3 \cdot \hat{b}_1 & \hat{a}_3 \cdot \hat{b}_2 & \hat{a}_3 \cdot \hat{b}_3 \end{bmatrix} \tag{6} \]

 

이므로, 식 (5)는 다음과 같이 쓸 수 있다.

 

\[ \begin{align} \bar{I}_G &= \sum_{i=1}^3 \sum_{j=1}^3 I_{ij}^a \left( \sum_{k=1}^3 C_{ik} \hat{b}_k \right) \left( \sum_{m=1}^3 C_{jm} \hat{b}_m \right) \tag{7} \\ \\ &= \sum_{k=1}^3 \sum_{m=1}^3 \left( \sum_{i=1}^3 \sum_{j=1}^3 I_{ij}^a C_{ik} C_{jm} \right) \hat{b}_k \hat{b}_m \end{align} \]

 

식 (7)과 (2)를 비교해 보면

 

\[ \begin{align} I_{km}^b &= \sum_{i=1}^3 \sum_{j=1}^3 I_{ij}^a \ C_{ik} \ C_{jm} \tag{8} \\ \\ &= \sum_{i=1}^3 \sum_{j=1}^3 C_{ki}^T \ I_{ij}^a \ C_{jm} \end{align} \]

 

임을 알 수 있다. 식 (6)을 이용하여 위 식을 식 (3)의 관성행렬 형태로 표현하면 다음과 같다.

 

\[ [I_G^b ]=(C_b^a )^T [I_G^a ] C_b^a \tag{9} \]

또는

\[ [I_G^a ]=C_b^a [I_G^b ] (C_b^a )^T \]

 

이다. 관성행렬은 텐서이므로 좌표변환 행렬이 두 번 사용되었다.

 

 

좌표변환에 따른 관성행렬의 변환 관계식은 다른 방법을 통해서 유도할 수도 있다. 강체의 질량중심 \(G\) 에 대한 강체의 각운동량 \(\vec{H}_G\) 는 다음과 같이 쓸 수 있다.

 

\[ \vec{H}_G= \bar{I}_G \cdot ^i \vec{\omega}^b \tag{10} \]

 

위 식을 좌표계 \(\{b\}\) 로 표현하면 다음과 같다.

 

\[ \begin{align} \vec{H}_G &= \sum_{j=1}^3 \sum_{k=1}^3 I_{jk}^b \ \hat{b}_j \hat{b}_k \cdot ( \omega_1 \hat{b}_1+ \omega_2 \hat{b}_2+ \omega_3 \hat{b}_3 ) \tag{11} \\ \\ &= \sum_{j=1}^3 \hat{b}_j \ (I_{j1}^b \omega_1+I_{j2}^b \omega_2+I_{j3}^b \omega_3) \end{align} \]

 

식 (11)을 벡터/행렬 형식으로 표현하면 다음과 같이 된다.

 

\[ H_G^b=[I_G^b ] \ \omega_{ib}^b \tag{12} \]

 

DCM \(C_b^a\) 를 이용하면 \(H_G^b\) 와 \(\omega_{ib}^b\) 를 다음과 같이 좌표계 \(\{a\}\) 로 표현할 수 있다.

 

\[ H_G^b=(C_b^a )^T H_G^a, \ \ \ \ \omega_{ib}^b=(C_b^a )^T \omega_{ib}^a \tag{13} \]

 

식 (13)을 (12)에 대입하면 다음과 같다.

 

\[ (C_b^a )^T H_G^a=[I_G^b ] (C_b^a )^T \omega_{ib}^a \tag{14} \]

 

양변에 \(C_b^a\) 를 곱하면 다음과 같이 된다.

 

\[ \begin{align} H_G^a &=C_b^a [I_G^b ] (C_b^a )^T \omega_{ib}^a \tag{15} \\ \\ &=[I_G^a ] \omega_{ia}^a \end{align} \]

 

두 좌표계 \(\{a\}\) 와 \(\{b\}\) 는 모두 강체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i \vec{\omega}^a = {^i \vec{\omega}^b} \) 이다. 따라서 위 식으로부터 식 (9)와 동일한 결과를 얻을 수 있다.

 

\[ [I_G^a ]=C_b^a [I_G^b ] (C_b^a )^T \tag{1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