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수학56 [MCMC] MCMC 개요 어떤 확률분포를 가진 랜덤변수에서 데이터를 생성하는 과정을 샘플링(sampling)이라고 한다. 파이썬(Python)이나 매트랩(Matlab)과 같은 많은 컴퓨터 언어에서는 기본적으로 가우시안 확률분포나 균등 확률분포와 같은 표준 형태의 확률밀도함수로부터 샘플을 추출할 수 있는 함수를 제공한다. 하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어떤 방법으로 샘플을 추출해야할까. 먼저 직접적인 방법이 있다 (https://pasus.tistory.com/49). 누적분포함수(cumulative distribution function)의 역함수를 이용하는 방법으로서 정확한 샘플링 방법이다. 하지만 랜덤변수가 다차원(multi-dimension)을 갖거나 복잡한 확률밀도함수를 갖는 경우에는 이 방법을 적용하기가 어렵다. .. 2024. 12. 26. 파티클 군집 최적화 (Particle Swarm Optimization) 파티클 군집 최적화(PSO, particle swarm optimization)는 1995년에 에버하트(Eberhart)와 케네디(Kennedy)가 개발한 최적화 알고리즘으로서 먹이를 찾는 새(bird)들의 군집 행동을 모방해서 개념을 정립했다고 한다. 새 떼는 무리 내부의 리더(leader)나 무리 외부의 통제자 없이 새들간의 상호 작용을 통해 먹이를 찾는다고 한다. 이러한 새들의 집단적 행동을 모방하여 최적화 문제를 풀기 위해서는 군집 지능(swarm intelligence)이라는 전제가 필요하다. 군집 지능은 단순하게 행동하는 개별 에이전트들을 군집으로 적절히 연결하면 그들의 집단적 행동이 매우 지능적인 결과를 만들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즉 멍청한 에이전트들을 연결해 놓으면 전체적으로 똑똑한 .. 2024. 12. 20. 크로네커 곱 (Kronecker Product) 두 행렬 \(A \in \mathbb{R}^{n \times m}, \ B \in \mathbb{R}^{p \times q}\) 의 크로네커 곱(Kronecker product) \(A \otimes B\) 는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 \begin{align}A \otimes B= \begin{bmatrix} a_{11} B & ⋯ & a_{1m} B \\ ⋮ & ⋱ & ⋮ \\ a_{n1} B & ⋯ & a_{nm} B \end{bmatrix} \in \mathbb{R}^{np \times mq} \end{align} \] 예를 들어서 행렬 A와 B가 각각 다음과 같을 때, \[ \begin{align}A= \begin{bmatrix} 1 & 2 \\ 3 & 4 \end{bmatr.. 2024. 12. 10. 정상 시퀀스 (Stationary Sequence) 랜덤 시퀀스의 정상성(stationarity)이란 랜덤 시퀀스의 확률적 특성 일부 또는 전부가 시불변(time-invariant)이라는 뜻이다. 정상 시퀀스에는 엄밀한 의미의 정상(SSS, strict-sense stationary) 시퀀스와 넓은 의미의 정상(WSS, wide-sense stationary) 시퀀스로 두 가지가 있다. SSS 시퀀스는 임의의 싯점 \(t\) 와 임의의 차수 \(n\) 에 대해서 시퀀스 \( ( \mathbf{x}_t, \mathbf{x}_{t+1}, ... , \mathbf{x}_{t+n-1 }) \) 과 임의의 정수 \(h\) 만큼 시프트된 시퀀스 \((\mathbf{x}_{t+h}, \mathbf{x}_{t+1+h}, ... , \mathbf{x}_{t+n-1+h.. 2024. 11. 6. 벡터 항등식과 벡터 미분 항등식 먼저 쓸모가 많은 벡터 항등식 4개를 소개한다. 필요할 때 참고하면 된다. 증명은 복잡하긴 해도 어렵진 않다. 여기서 모든 벡터는 3차원 벡터이다. \begin{align} & \mathbf{a} \cdot (\mathbf{b} \times \mathbf{c})= \mathbf{b} \cdot (\mathbf{c} \times \mathbf{a})= \mathbf{c} \cdot (\mathbf{a} \times \mathbf{b}) \\ \\ & \mathbf{a} \times (\mathbf{b} \times \mathbf{c})=(\mathbf{a} \cdot \mathbf{c})\mathbf{b}-(\mathbf{a} \cdot \mathbf{b})\mathbf{c} \\ \\ & (\math.. 2024. 9. 5. 케일리-해밀톤 정리 (Cayley-Hamilton Theorem) 정방 행렬 또는 정사각형 행렬 (square matrix) \(A \in \mathbb{R}^{n \times n}\) 의 특성 다항식(characteristic polynomial)은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 \begin{align} \Delta (\lambda)= \det (\lambda I-A)= \lambda^n+c_{n-1} \lambda^{n-1}+ \cdots +c_1 \lambda+c_0 \tag{1} \end{align} \] 참고로 특성 방정식 \(\Delta (\lambda)=0\) 의 해는 행렬 A의 고유값(eigenvalue)이다. 행렬 \(A\) 의 특성 다항식은 식 (1)과 계수가 똑같은 행렬 다항식으로서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 \begin{align} \Del.. 2024. 7. 14. 플롭 (Flop) 선형대수 수치 알고리즘의 복잡성을 표현하는 방법 중의 하나로 알고리즘을 수행하는 데 필요한 부동소수점 연산의 총 횟수를 사용한다. 부동소수점 연산 (floating point operation)을 간단히 플롭(flop)이라고 하는데, flop은 두 개의 부동소수점 숫자의 덧셈, 뺄셈, 곱셈 또는 나눗셈 등을 한 번 수행하는 것으로 정의한다. 컴퓨터의 성능을 수치로 나타내는 단위로서 사용되는 FLOPS도 있다. 이 때의 FLOPS는 FLoating point Operations Per Second의 약자로 해당 컴퓨터가 처리할 수 있는 초당 얼마나 많은 연산을 처리하는 지를 나타내는 단위다. 여기서는 부동소수점 연산(flop)의 횟수(count) 라는 의미의 flops에 대해서 설명한다. 플롭의 횟수, 즉.. 2023. 11. 9. 심플렉틱 행렬 (Symplectic Matrix) 심플렉틱 행렬(symplectic matrix)은 다음식을 만족하는 정사각형 행렬 \( M \in \mathbb{R}^{2n \times 2n}\) 으로 정의한다. \[ M^T JM=J \tag{1} \] 여기서 \[ J= \begin{bmatrix} 0 & I_n \\ -I_n & 0 \end{bmatrix} \] 이고 \(I_n\) 은 \(n \times n\) 단위행렬이다. 심플렉틱 행렬은 다음과 같은 몇가지 특징을 갖는다. 첫째 심플렉틱 행렬의 행렬식(determinant)은 항상 \(1\) 이다. 증명은 다음과 같다. 식 (1)에서 \[ \begin{align} \det J = 1 &= \det(M^T ) \det J \det M \tag{2} \\ \\ &=(\det M )^2 \en.. 2023. 7. 1. 좌(왼쪽) 고유벡터 (left eigenvector) 고유벡터에도 좌파와 우파가 있다. 일반적으로 고유벡터라고 하면 우(오른쪽) 고유벡터(right eigenvector)를 의미한다. 그러면 좌(왼쪽) 고유벡터(left eigenvector)란 무엇이고 우(오른쪽) 고유벡터와는 어떤 관계가 있을까. 정방행렬 \(A \in \mathbb{R}^{n \times n}\) 의 우(오른쪽) 고유값(eigenvalue) \(\lambda\) 와 고유벡터 \(\mathbf{v}\) 는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https://pasus.tistory.com/8). \[ A \mathbf{v} = \lambda \mathbf{v}, \ \ \ \mathbf{v} \ne 0 \tag{1} \] 반면 정방행렬 \(A\) 의 좌(왼쪽) 고유값 \(\kappa\) 와 고유벡터 \.. 2023. 2. 10. Frobenius Norm 최소화 문제 행렬 \(A \in \mathbb{R}^{n_1 \times n_2} \), \(B \in \mathbb{R}^{n_3 \times n_4}\), \(Y \in \mathbb{R}^{n_1 \times n_4}\) 가 주어졌을 때, 다음과 같은 프로베니우스 놈(Frobenius norm)을 최소화하는 행렬 \(X \in \mathbb{R}^{n_2 \times n_3}\) 를 구하는 문제를 프로베니우스 놈 최소화 문제라고 한다. \[ X_{opt}= \arg \min_{X} \lVert AXB-Y \rVert_F \tag{1} \] 참고로 어떤 행렬 \(M\) 의 프로베니우스 놈 \( \lVert M \rVert _F\) 는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 \lVert M \rVert _F= \sqrt{ t.. 2022. 11. 3. 이전 1 2 3 4 ··· 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