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음과 같은 선형 시불변(LTI) 시스템이 있다.
여기서
그렇다면 구체적으로
PBH 테스트에 의하면, 어떤 복소수
증명은 다음과 같다.
만약 식 (2)의 랭크 조건을 만족한다면 다음 수식을 만족하는
위 식을 전개하면 다음과 같다.
이제
위 미분방정식을 풀면 다음과 같다.
위 식에 의하면 어떤 제어입력
참고로 식 (4)에서
이상의 증명을 통해서 만약 모든

다른 방법으로 증명할 수도 있다.
만약 시스템이 식 (2)의 랭크 조건을 만족한다면 식 (4)가 성립하며 식 (4)에 차례로
위 식에 의하면
이제
시스템
그런데
이므로
이 된다. 여기서
식 (10)에 의하면
'유도항법제어 > 비행제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Continuous-Time] 제어가능성 그래미안 (0) | 2024.07.25 |
---|---|
[Continuous-Time] 안정성과 리야프노프 방정식 (0) | 2024.07.25 |
[Continuous-Time] 제어가능한 부분공간 (0) | 2024.07.23 |
[Continuous-Time] 제어가능성 (Controllability) (0) | 2024.07.16 |
연속시간 상태공간 방정식의 이산화 (Discretization) (0) | 2024.02.1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