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항공우주/우주역학

미분보정 (Differential Correction)

by 깊은대학 2023. 7. 3.

미분보정(differential correction)은 슈팅방법(shooting method)으로도 불린다. 기본적으로 미분방정식의 경계값 문제(boundary value problem)를 초기값 문제(initial value problem)로 바꾸어 해를 구하는 방법이다.

다음과 같은 비선형 미분방정식이 있다.

 

\[ \dot{\mathbf{x}}(t)= \mathbf{f}(\mathbf{x}(t)) \tag{1} \]

 

여기서 초기값 \(\mathbf{x}(t_0 )\) 은 일부만 주어지거나 또는 주어지지 않았다고 가정한다. 대신 정해진 시간 \(t_f\) 에서 경계값 \(\mathbf{x}_d\) 가 주어졌다고 가정한다. 문제는 시간 \(t_f\) 에서 \(\mathbf{x}(t_f )=\mathbf{x}_d \) 가 되도록 초기값 \(\mathbf{x}(t_0 )\) 을 구하는 것이다.

 

 

경계값 문제의 경우 초기값이 다 주어지지 않았으므로 시간 전파를 하며 수치적분을 수행할 수가 없다. 대신 주어지지 않은 초기값을 적당히 추정한 다음에 초기값 문제를 풀 듯이 순차적으로 시간 전파해야 한다. 그리고 시간이 \(t_f\) 일 때 \(\mathbf{x}(t_f )\) 를 \(\mathbf{x}_d\) 와 비교해서 오차가 있다면 그 오차를 바탕으로 초기값 \(\mathbf{x}(t_0 )\) 를 다른 값으로 조정해 본다. 그리고 다시 이 값을 초기값 삼아 시간 전파하는 것이다. 이것을 \(\mathbf{x}(t_f )=\mathbf{x}_d\) 가 될 때까지 반복하는 방법을 미분보정 또는 슈팅방법이라고 한다.

 

 

초기값 \(\mathbf{x}(t_0 )\) 일 때 식 (1)의 해 또는 궤적을 \(\mathbf{x}(t)\) 로 표현하자. 또한 원래 초기값에 섭동을 준 새로운 초기값 \(\mathbf{x}(t_0 )+\delta \mathbf{x}(t_0 )\) 에서 시작된 궤적을 \(\tilde{\mathbf{x}}(t)\) 로 표현하자.

 

 

러면 두 궤적 사이의 차이는 다음과 같다.

 

\[ \delta \mathbf{x}(t)= \tilde{\mathbf{x}} (t)- \mathbf{x} (t) \tag{2} \]

 

만약 초기값의 섭동 \(\delta \mathbf{x}(t_0 )\) 가 매우 작다면 두 궤적 사이의 차이 \(\delta \mathbf{x}(t)\) 도 작다고 가정할 수 있으므로 테일러 시리즈 1차항에서 절삭한 \(\delta \mathbf{x}(t)\) 의 미분방정식을 다음과 같이 표현할 수 있다.

 

\[ \begin{align} \delta \dot{\mathbf{x}}(t) &= \dot{\tilde{\mathbf{x}}}(t)- \dot{\mathbf{x}}(t)= \mathbf{f}(\tilde{\mathbf{x}}(t))-\mathbf{f}(\mathbf{x}(t)) \tag{3} \\ \\ &= \mathbf{f}(\mathbf{x}(t)+\delta \mathbf{x}(t))-\mathbf{f}(\mathbf{x}(t)) \\ \\ &= \mathbf{f}(\mathbf{x}(t))+ \left. \frac{\partial \mathbf{f} }{ \partial \mathbf{x} } \right|_{\mathbf{x}(t)} \delta \mathbf{x}(t)+HOT - \mathbf{f}(\mathbf{x}(t)) \\ \\ & \approx \left. \frac{\partial \mathbf{f} }{ \partial \mathbf{x} } \right|_{\mathbf{x}(t)} \delta \mathbf{x}(t) \\ \\ &=A(t) \delta \mathbf{x}(t) \end{align} \]

 

여기서 자코비안 \(\frac{\partial \mathbf{f}}{\partial \mathbf{x}}\) 는 궤적 \(\mathbf{x}(t)\) 를 따라서 계산해야 하기 때문에 시간 함수 \(A(t)\) 가 된다.

식 (3)은 선형 시변(linear time-varying) 방정식이므로 다음과 같이 상태천이행렬(state transition matrix)을 이용하여 해를 구할 수 있다(https://pasus.tistory.com/274).

 

\[ \delta \mathbf{x}(t)=\Phi (t, t_0 ) \delta \mathbf{x}(t_0) \tag{4} \]

 

그러면 초기값 \( \mathbf{x}(t_0 )+ \delta \mathbf{x}(t_0 )\) 로 시작한 상태변수 값이 시간 \(t_f\) 에서는 다음 값이 된다.

 

\[ \begin{align} \tilde{\mathbf{x}} (t_f) &= \mathbf{x}(t_f) + \delta \mathbf{x}(t_f) \tag{5} \\ \\ &= \mathbf{x}(t_f) + \Phi (t_f, t_0 ) \delta \mathbf{x}(t_0) \end{align} \]

 

\(\tilde{\mathbf{x}}(t_f )\) 값이 \(\mathbf{x}_d\) 가 되는 것이 목표이므로 위 식에서 초기값의 섭동 \(\delta \mathbf{x}(t_0)\) 을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 \delta \mathbf{x}(t_0 )= \Phi^{-1} (t_f, t_0 ) [ \mathbf{x}_d- \mathbf{x}(t_f )] \tag{6} \]

 

식 (6)에 의하면 초기값 \(\mathbf{x}(t_0 )\) 를 \(\mathbf{x}(t_0 )+\delta \mathbf{x}(t_0 )\) 로 변경하면 테일러 시리즈 1차 근사의 정확도로 \(\tilde{\mathbf{x}} (t_f )\) 값이 \(\mathbf{x}_d\) 가 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이것이 미분보정의 기본 프로세스이다. 즉, 시간 \(t_f\) 에서 목표값 \(\mathbf{x}_d\) 와 현재의 초기값으로 산출된 최종값 \(\mathbf{x}(t_f )\) 간의 차이를 이용하여 초기값을 수정하는 것이다.

결국 다음 식으로 수정된 초기값

 

\[ \mathbf{x} (t_0 ) \ \gets \ \mathbf{x}(t_0 )+ \Phi^{-1} (t_f, t_0 )[ \mathbf{x}_d- \mathbf{x}(t_f )] \tag{7} \]

 

을 이용하여 위 프로세스를 반복하면 \(\mathbf{x}(t_f )= \mathbf{x}_d\) 가 되는 초기값 \(\mathbf{x}(t_0 )\) 를 계산해 낼 수 있다.

우주역학 분야에서는 주로 섭동력을 받는 램버트 문제(Lambert's problem)나 또는 삼체문제에서 주기궤도(periodic orbit)를 설계하는 데에 미분보정이 사용되고 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