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불변 시스템 \(\dot{\mathbf{x}} = \mathbf{f}(\mathbf{x})\) 의 안정성에 대한 정의에 이어서 이번에는 시스템의 안정성을 판별할 수 있는 이론에 대해서 알아보겠다.
시스템이 선형 시불변이라면 시스템의 고윳값(eigenvalue)을 이용하여 쉽게 안정성을 판별할 수 있다. 시스템이 비선형일 경우에도 평형상태에 대해서 선형화를 한 후에 평형상태 근방에서 로컬 안정성을 판별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안정성 판별 방법을 간접방법(indirect method)이라고 한다.
그러나 선형화를 사용하여 비선형 시스템의 로컬 안정성을 파악할 수 없는 상황이 있을 수 있다. 또한 선형화는 그 속성상 비선형 시스템의 전역(global) 안정성에 대해서는 알려줄 수가 없다. 물론 비선형 시스템의 해를 구할 수 있다면 안정성을 쉽게 판별할 수 있겠지만 일반적으로 해를 명시적으로 구하는 것은 쉽지 않은 일이다.
리야프노프 안정성(Lyapunov stability) 이론은 시스템의 해를 구하지 않고도 시스템의 안정성을 판별할 수 있게 해준다. 이 이론에 의한 안정성 판별 방법을 리야프노프 직접방법(Lyapunov direct method)이라고 한다. 리야프노프 안정성 이론은 시변(time-varying) 시스템에도 적용할 수 있지만 여기서는 시불변 시스템에 대해서만 논하기로 한다.
이제부터 편의상 시스템의 평형상태를 \(0\) 으로 놓고 논의를 진행하겠다. 좌표변환을 이용하면 각 평형상태를 모두 \(0\) 으로 만들 수 있기 때문이다. 즉 평형상태가 \(\mathbf{x}_e\) 라고 할 때 새로운 변수를 \(\mathbf{y}= \mathbf{x}-\mathbf{x}_e\) 로 정의한다면 시스템 \(\dot{\mathbf{x}} = \mathbf{f}(\mathbf{x})\) 는 \(\dot{\mathbf{y}} = \mathbf{f}(\mathbf{y} + \mathbf{x}_e)\) 로 쓸 수 있고 이 때 평형상태는 \(\mathbf{y}_e=0\) 이 된다.
리야프노프 안정성 이론은 정정함수(positive definite function)에 기반을 두고 있기 때문에 우선 이 함수에 대한 정의를 알아야 한다. 'Positive definite function'은 여러가지로 번역되고 있는데 'positive-definite matrix'를 정정행렬이라고 번역한 바 있기 때문에 여기서는 이와 결을 맞춰서 정정함수라고 번역하고자 한다.
로컬 정정함수(locally positive definite function) \(V(\mathbf{x})\) 는 다음 두가지 조건을 만족하는 스칼라 함수로 정의한다.
1. \(V(\mathbf{x}) \gt 0, \ \ \forall \mathbf{x} \ne 0 \ \mbox{ and } \ \lVert \mathbf{x} \rVert \lt r \)
2. \(V(0)=0\)
즉 로컬 정정함수는 일정 영역 \(0 \lt \lVert \mathbf{x} \rVert \lt r\) 에서 모든 \(\mathbf{x}\) 값에 대해서 양(positive)의 수를 갖는 함수다.
전역(global) 정정함수 \(V(\mathbf{x})\) 는 다음 세가지 조건을 만족하는 스칼라 함수다.
1. \(V(\mathbf{x}) \gt 0, \ \ \forall \mathbf{x} \ne 0 \)
2. \(V(0)=0\)
3. \(V(\mathbf{x}) \to \infty \ \ \mbox{as } \lVert \mathbf{x} \rVert \to \infty\)
전역 정정함수는 로컬 정정함수를 무한한 영역, 즉 \(r \to \infty\) 로 확장한 것 외에 3번 조건이 하나 더 추가된 것이다. 3번 조건을 radially unboundness 조건이라고 한다. 벡터 \(\mathbf{x}\) 의 크기가 모든 방향에서 무한대로 커질수록 함수 값도 무한대로 커져야 한다는 '방사형 무한함수' 조건이다.
일반적으로 로컬이라는 말이 없이 그냥 정정함수라고 하면 전역 정정함수를 일컫는다.
예를 들어서 \(V(x)=x^2\) 은 정정함수다. 반면에 \(V(x)=1-\cos x\) 는 3번 조건에 위배돼서 정정함수는 아니지만 \(|x| \lt \frac{\pi}{2}\) 에서 로컬 정정함수에는 해당된다. \(V(x_1, x_2 )=(x_1-x_2 )^2\) 의 경우에는 \(x_1=x_2\) 인 선을 따라서 함수값이 \(0\) 이 되기 때문에 정정함수뿐 만 아니라 로컬 정정함수에도 해당되지 않는다.
리야프노프 안정성 정리는 다음과 같다.
어떤 시불변 동적 시스템 \(\dot{\mathbf{x}} = \mathbf{f}(\mathbf{x})\) 에 대해서, 만약 다음 식을 만족하는 로컬 정정함수 \(V(\mathbf{x})\) 와 \(r \gt 0\) 이 존재한다면 이 시스템의 평형상태 \(0\) 은 안정하다.
\[ \dot{V}(\mathbf{x}) \le 0 , \ \ \lVert \mathbf{x} \rVert \lt r \]
그리고 그 때의 로컬 정정함수 \(V(\mathbf{x})\) 를 리야프노프 함수(Lyapunov function)라고 한다.
\[
\dot{V}(\mathbf{x}) \lt 0 , \ \ \mathbf{x} \ne 0 \ \mbox{ and } \ \lVert \mathbf{x} \rVert \lt r
\]
위 식에서 \(\dot{V} (\mathbf{x})\) 는 시스템의 궤적 \(\mathbf{x}(t)\) 를 따라가며 함수 \(V(\mathbf{x}(t))\) 를 시간 미분한 것으로서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 \begin{align}
\dot{V} (\mathbf{x}(t)) &= \frac{dV(\mathbf{x}(t))}{dt} \\ \\
&= \left( \nabla_{\mathbf{x}} V(\mathbf{x}) \right)^T \frac{d\mathbf{x}}{dt}
= \left( \nabla_{\mathbf{x}} V(\mathbf{x}) \right)^T \mathbf{f}(\mathbf{x})
\end{align} \]
여기서 \(\nabla_{\mathbf{x}} V(\mathbf{x})\) 는 함수 \(V(\mathbf{x})\) 의 그래디언트이다.
예를 들어서 다음과 같은 시스템이 있을 때,
\[ \begin{align}
& \dot{x}_1=x_1 (x_1^2+x_2^2-2)-4x_1 x_2^2 \tag{1} \\ \\
& \dot{x}_2=4x_1^2 x_2+x_2 (x_1^2+x_2^2-2)
\end{align} \]
이 시스템의 평형상태는 \((x_1, x_2 )=(0, 0)\) 이다. 이 평형상태의 안정성을 알아보기 위해서 다음과 같은 정정함수를 고려해 보자.
\[
V(x_1,x_2 )=x_1^2+x_2^2
\]
이 함수가 리야프노프 함수가 될 수 있는지 알아보려는 것이므로 보통 이 단계에서는 정정함수를 리야프노프 함수 후보(Lyapunov function candidate)라고 부른다. 함수를 시간 미분하면 다음과 같다.
\[ \begin{align}
\dot{V}(x_1,x_2 ) &= 2x_1 x ̇_1+2x_2 x ̇_2 \\ \\
&=2(x_1^2+x_2^2)(x_1^2+x_2^2-2)
\end{align} \]
위 미분은 \(x_1^2+x_2^2 \lt 2\) 또는 \(\lVert \mathbf{x} \rVert ^2 \lt 2\) 에서 \(\dot{V} \lt 0\) 이 되므로 시스템 (1)의 평형상태는 \(\lVert \mathbf{x} \rVert \lt \sqrt{2}\) 에서 점근적으로 안정하다고 말할 수 있다.
\[
\dot{V}(\mathbf{x}) \le 0
\]
그리고 그 때의 정정함수 \(V(\mathbf{x})\) 를 리야프노프 함수라고 한다.
\[
\dot{V} (\mathbf{x}) \lt 0, \ \ \mathbf{x} \ne 0
\]
로컬 정정함수와 다르게 정정함수는 radially unboundness 조건이 추가되었음에 주의해야 한다.
\[
\dot{x}= -x^3 \tag{2}
\]
이 시스템의 평형상태는 \(x=0\) 이다. 이 평형상태의 안정성을 알아보기 위해서 다음과 같은 정정함수를 고려해 보자. \[
V(x)=x^2
\]
이 함수를 시간 미분하면 다음과 같다. \[
\dot{V}(x)=2xx ̇=-2x^4 \lt 0, \ \ x \ne 0
\]
따라서 시스템 (2)의 평형상태는 전역에서 점근적으로 안정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
\delta \dot{x} = \frac{df(0)}{dx} = -3(0)=0
\]
이 되어서 간접방법으로는 시스템의 안정성을 판별할 수 없다.
만약 다음 식을 만족한다면 시스템의 평형상태 \(0\) 은 로컬(local)에서 점근적으로 안정(locally asymptotically stable)하다.
전역(global) 안정성 정리는 다음과 같다.
어떤 시불변 동적 시스템 \(\dot{\mathbf{x}} = \mathbf{f}(\mathbf{x})\) 에 대해서, 만약 다음 식을 만족하는 정정함수 \(V(\mathbf{x}) \) 가 존재한다면 이 시스템의 평형상태 \(0\) 은 전역에서 안정하다.
만약 다음 식을 만족한다면 시스템의 평형상태 \(0\) 은 전역에서 점근적으로 안정(globally asymptotically stable)하다.
예를 들어서 다음과 같은 시스템이 있을 때,
참고로 간접방법으로 시스템 (2)의 안정성을 알아보기 위해서 평형상태 \(0\) 에서 선형화해 보자. 그러면
리야프노프 정리는 충분조건이기 때문에 리야프노프 함수를 구하지 못했다고 하여 시스템이 불안정하다고 할 수는 없다. 즉 정정함수가 리야프노프 정리의 조건을 만족하지 못했다면 이 함수는 리야프노프 함수가 아니라는 거 외에는 아무런 결론도 내릴 수 없다. 이 때는 다른 리야프노프 함수 후보(정정함수)를 구해서 다시 시도해 보는 방법 밖에 없다.
'유도항법제어 > 비행제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선형 시스템과 부분공간 (Subspace) (0) | 2022.12.27 |
---|---|
행렬지수함수 (Matrix Exponential) 계산 (0) | 2022.12.24 |
리야프노프 안정성 (Lyapunov stability) 개념 (0) | 2022.09.27 |
[Continuous-Time] LTI 시스템과 인과 시스템 (0) | 2022.09.13 |
[Continuous-Time] LTI 시스템과 컨볼루션 (0) | 2022.09.1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