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rm을 한글로 표기할 때 ‘놈’이라고 하기도 하고 ‘노름’이라고 하기도 하는데, 둘 다 좋은 뜻은 아니지만 ‘놈’이 조금 나은 것 같다. 사람에게도 이놈, 저놈, 그놈이 있듯이 norm에도 여러 놈이 있다. 😊
벡터
1.
2.
3. 스칼라
4.
위 4가지 성질을 만족하기만 하면 놈이라고 할 수 있는데, 많이 사용되는 놈은 다음 세 가지이다. 놈을 구별하기 위하여 아래 첨자를 사용하고,
1-놈은 벡터 x의 성분의 절대값을 모두 더한 것으로, 2-놈은 벡터의 기하학적 길이로,
놈의 예를 들면,

그러면 행렬의 놈은 어떻게 정의할까. 행렬
놈
이와 같이 정의된 행렬의 놈은 벡터의 놈에서 유도된 것이므로 유도 놈(induced norm)이라고도 한다.
행렬 놈의 정의에 의하면 어떤 벡터 놈을 사용하느냐에 따라 달라진다. 벡터 놈으로 1-놈, 2-놈,
여기서
증명해 보자. 먼저 벡터
이 된다. 벡터
이 된다. 따라서
이 되므로
다음으로 1-놈과 결이 비슷한
이 된다. 따라서
이 되므로
한편, 벡터
이 된다. 행렬
따라서
1-놈, 2-놈,
행렬 놈의 예를 들면,
일 때,
'AI 수학 > 선형대수' 카테고리의 다른 글
Frobenius Norm 최소화 문제 (0) | 2022.11.03 |
---|---|
행렬의 조건수 (Condition Number) (0) | 2021.03.02 |
내적 (Inner Product) (0) | 2020.10.21 |
유사 역행렬 (Pseudo Inverse Matrix) (0) | 2020.10.19 |
특이값 분해(SVD)의 응용: 이미지 압축 (0) | 2020.07.2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