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항공우주/우주역학

케플러 문제 (Kepler’s problem) - 1

by 깊은대학 2023. 11. 18.

궤도가 주어졌을 때 우주비행체가 궤도상의 한 지점에서 다른 지점까지 비행하는데 걸리는 비행시간(time of flight)을 함수의 적분 해를 이용하여 계산해 보았다 (https://pasus.tistory.com/307).

하지만 케플러는 미적분이 발명되기 80여년전에 이미 기하학적인 방법을 사용하여 시간 t=t0 에서의 실제 비행각(true anomaly) θ0=θ(t0) 와 임의의 실제 비행각 θ(t) 가 주어졌을 때 비행시간 tt0 을 계산하였고, 또 역으로 시간 t=t0 에서의 실제 비행각 θ0 와 임의의 비행시간 tt0 가 주어졌을 때 실제 비행각 θ(t) 를 구하는 예측문제를 풀었다. 이와 같이 우주비행체의 비행시간과 실제 비행각과의 함수 관계를 다루는 문제를 케플러 문제 (Kepler's problem)라고 한다.

우선 타원궤도에서 케플러 문제를 풀어보고 그 다음 쌍곡선궤도에서도 같은 방법을 적용하여 풀어본다. 케플러 제2법칙인 면적속도 일정의 법칙(https://pasus.tistory.com/172)에 의하면, 다음 그림과 같이 우주비행체가 근지점에서 실제 비행각 θ 가 만든 면적 A1 만큼 비행하는데 걸리는 시간 t 는 타원궤도의 전체면적과 주기의 관계식으로 주어진다. 즉,

 

(1)tA1=Tπab

 

여기서 T 는 궤도의 주기이며 πab 는 타원의 면적이다. 따라서 실제 비행각 θ 가 만든 면적 A1 을 구할 수 있다면, 비행시간은 쉽게 계산될 수 있다.

면적 A1 은 다음과 같이 기하학적인 관계에 근거하여 계산할 수 있다. 우선 아래 그림과 같이 타원의 장반경 a 를 반지름으로 하는 가상의 원궤도를 그린다. 그리고 우주비행체의 위치 B 와 장축과 만나는 점 C 를 연결한 선을 연장하여 가상의 원궤도와 만나는 점을 B 이라 한다. 이때 가상의 원궤도 중심 O 에서 B 의 각을 이심 비행각 (eccentric anomaly)이라고 하고 E 라고 표시한다.

 

 

그러면 면적 A1 은 다음 식으로 계산된다.

 

(2)A1=A2+area[PCB]

 

area[PCB] 는 점 PCB 로 이루어진 도형의 면적이며 타원과 원과의 관계식에 의하여 다음과 같이 표현된다.

 

(3)area[PCB]=area[PCB]ba

 

area[PCB] 는 다음과 같이 주어지므로,

 

(4)area[PCB]=12a2E12a2cosEsinE

 

식(3)과 (4)에 의하여 area[PCB]

 

(5)area[PCB]=ba(12a2E12a2cosEsinE)=ab2(EcosEsinE)

 

으로 계산된다. 면적 A2 는 직각 삼각형이므로 다음과 같이 쉽게 면적을 구할 수 있다.

 

(6)A2=12(acosEae)(asinEba)=ab2(cosEsinEesinE)

 

식 (5)와 (6)을 식 (2)에 대입하면 면적 A1

 

(7)A1=ab2(EesinE)

 

이므로 식 (7)을 식 (1)에 대입하면 비행시간 t 를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8)t=a3μ(EesinE)

 

여기서 타원궤도의 평균 비행각(mean anomaly) Me

 

(9)Me=EesinE

 

로 정의하며 이 식을 케플러 방정식 (Kepler's equation)이라고 부른다.

 

 

평균 비행각을 이용하면 비행시간은

 

(10)t=a3μMe=Men

 

이며 n 을 평균 비행각속도 (mean motion)라고 정의한다.

 

(11)n=μa3=2πT

 

식 (10)의 비행시간은 근지점을 기준으로 한 것이다. 우주비행체가 궤도를 여러 번 회전하는 경우와 근지점이 아닌 지점을 기준으로 할 때는 다음과 같이 비행시간을 구해야 한다.

 

(12)tt0=2πk+MeMe0n=a3μ(2πk+EesinEE0+esinE0)

 

여기서 k 는 우주비행체가 근지점을 통과한 회수이며, t0E0 는 우주비행체의 초기 시간과 초기 이심 비행각이다.

식 (12)에서는 우주비행체의 비행시간을 이심 비행각의 함수로 구하였다. 하지만 궤도요소는 실제 비행각의 정보를 주므로 실제 비행각을 이심 비행각으로 변환할 필요가 있다.

다시 위 그림에서 이심 비행각과 실제 비행각과의 관련성을 유도해 내도록 하자. 우선 길이 OC¯ 를 기준으로 하면,

 

OC¯=acosE+rcosθ

 

가 된다. 따라서

 

(13)cosE=e+rcosθa=e+cosθ1+ecosθ

 

이다. 다음으로 길이 BC¯ 를 기준으로 하면, 다음식이 성립한다.

 

BC¯=asinE=BC¯ab=rsinθab

 

위 식을 이심 비행각으로 정리하면

 

(14)sinE=rsinθb=1e2sinθ1+ecosθ

 

이 된다. 한편 tan 함수의 반각의 공식을 사용하면

 

tan2E2=1cosE1+cosE=(1e)(1cosθ)(1+e)(1+cosθ)=(1e)(1+e)tan2θ2

 

가 되므로

 

(15)tanE2=1e1+etanθ2

 

가 됨을 알 수 있다.

식 (9)와 (15)에 의하면 이전 포스트(https://pasus.tistory.com/307)에서 도출했던 타원의 평균 비행각 식 (9)와 완전히 일치함을 알 수 있다.

식 (13), (14), (15)는 실제 비행각 θ 를 이심 비행각 E 로 변환하는 공식이다. 실제 비행각에서 이심 비행각을 계산하거나 또는 이심 비행각에서 실제 비행각을 계산할 때 부호가 문제가 될 수 있는데, 이 경우 평균 비행각, 이심 비행각 및 실제 비행각은 다음 그림과 같이 모두 같은 반구면 (001800 구역과 180000 구역) 상에 존재함에 유의하면 된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