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음과 같이 제약조건이 없는 일반적인 함수의 최적화 문제에서,
함수
위 조건을
사실 위 조건은 로컬 최대점에서도 성립한다. 그럼 또 다른 필요조건이 필요할까, 그리고 충분조건(sufficient condition)은 무엇일까.
어떤 점

로컬 최소점에서 가까운 점을
여기서
극한
이 되어야 한다. 즉
따라서
위 식을
하지만 1차 필요조건과 2차 필요조건을 만족한다고 해서

다시 테일러 시리즈를 이용하여 어떤 점
여기서
만약
이 된다. 따라서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만약 어떤 점
여기서
'AI 수학 > 최적화' 카테고리의 다른 글
[KKT 조건 - 2] KKT 조건과 적용 예제 (0) | 2021.01.18 |
---|---|
[KKT 조건 - 1] 등식과 부등식 제약조건이 있는 최적화 문제 (0) | 2021.01.14 |
SGD에서 데이터를 무작위로 추출해야 하는 이유 (1) | 2021.01.04 |
함수의 최소화 또는 최대화의 조건 (0) | 2020.10.20 |
라그랑지 곱수법의 증명 (0) | 2020.10.01 |
댓글